세종시사뉴스(충남도민일보) 정연호기자 | 충청북도보건환경연구원은 22일 인하수처리시설의 부적합 설치를 사전에 예방하고 공공수역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도내 시·군 인허가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개인하수처리시설 업무 담당자 전문성 향상 교육·세미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세미나는 실무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인허가 담당자들이 ‘건축물의 용도별 오수량 산정’ 기준에 따라 적정 시설 용량과 공법을 적용하고, 관련 행정 절차와 설치 기준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교육 내용은 ▲개인하수처리시설 업무편람을 기반으로 한 오수처리시설 가이드라인 및 정책 방향 ▲설계·시공 지침의 이해와 실무 적용 방안 등 현장에서 직접 활용 가능한 주제로 구성됐으며,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초빙해 강의를 진행했다.
충북녹색환경지원센터 환경기술지원 전문가인 서경수 위원이 부적합 오수처리시설 운영 개선 지원 사례를 발표하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공유했다.
이어서 제주시청 김준희 팀장은 제주형 설계·시공 지침 사례를 중심으로 부적합 시설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사전검사·준공검사 기준과 실무 점검표 활용 방안에 대해 강의했으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장영호 연구관은 오수처리시설의 설치 기준, 공법 선정, 운영관리의 문제점과 제도 개선 방향을 설명했다.
충북보건환경연구원 조성렬 환경연구부장은 “이번 교육·세미나를 통해 인허가 담당 공무원의 역량이 한층 강화되어, 부적합 시설 설치를 사전에 차단하고 공공수역의 수질보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시군과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통해 수질오염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충청북도]